맛있는 밥을 짓기 위해서는
뜸 들이는 시간이 필요하듯
밀고 당기기의 시간은
연애의 성패를 좌우합니다.
'밀당'도 사실 필요해요.
상대가 나에게 5를 주었는데,
내가 상대를 더 사랑하여 15를 주는 것이
뭐가 잘못된 것이냐고 묻는 이들이 있어요.
하지만 너무 주기만 하는 사랑은
처음에는 좋으나 시간이 갈수록
상대는 당연하다고 여기고, 나는 지쳐가기 마련입니다.
'밀당'은 두 사람의 감정의 균형을 맞추는 시간입니다.
어느 한쪽이 더 좋아하면
상대방의 감정과 균형을 맞춰야
제대로 사랑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'밀당'의 기본은, 좋아도 잠시 참는 것입니다.
"스님, 제가 그 젊은 교수님께 속으로 엄청 짜증을 냈거든요.
처음엔 그분이 싫어서 그런 줄 알았는데, 알고 보니
그 교수님한테 관심을 받고 싶은데 못 받으니까 그런 거더라구요."
나는 오늘 배웠어요.
이유 없는 짜증은 짝사랑의 표현이구나······,
초등학교 다닐 때,
나를 못살게 굴던 나보다 키가 큰 여자아이가
사실은 나를 좋아해서 그랬다는 것을 알았을 때,
인간의 심리가 얼마나 복잡한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.
잘 모르는 이가 당신을 이상하게 힘들게 하면 의심하세요.
당신에게 관심받고 싶어서 그런 걸 수도 있으니까요.
사람들이 가장 고통스러워하는 것 중 하나는
내가 관심받지 못하고 외면당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.
나도 모르게 소외시킨 사람은 없는지 둘러보세요.
그리고 내가 당신을 이해하고 싶다는 마음으로
그의 말을 들어주세요.
다른 사람에게 서운함을 느꼈을 때
우리는 비로소 우리가 예전에 비슷한 방식으로
서운하게 했던 사람의 얼굴을 떠올리며
그때서야 그 사람에게 진정으로 미안함을 느낍니다.
관계가 깨질 때처럼 적나라하게
내 밑천을 보여주는 경우는 없습니다.
마음의 치졸함의 끝에서 한 발만 양보하십시오.
그 한 발은 보통 때의 열 발보다 훨씬 위대합니다.
그리고 내 고통의 시간을 단축시켜줍니다.
머리로는 헤어져야 되는 것을 아는데
실제로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뮤엇인 줄 아세요?
우리의 감정은 머리로 아는 것보다
훨씬 더 깊숙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머리가 그만 헤어져라 해도
내 안의 감정이 정리되는 속도는 훨씬 천천히 진행됩니다.
그러다 어느 순간 상대방으로부터 결정타를 맞는 일이 생깁니다.
그 사람이 말로, 행동으로 나에게 결정타를 날리는 순간,
내 가슴속 그와의 불빛이 정리되어 소멸됨이 보입니다.
길가에 떨어져 있는 은행나무 열매는
사랑이 끝나 완전히 만신창이가 된 연인들을 연상케 합니다.
나무에 맺혀 있을 때는 좋았던 그 열매가
땅에 떨어져 사람들에게 밝히면서 뚯밖의 냄새가 납니다.
인연을 잘 마무리하려는 노력은
처음 만나서 설레었을 때 기울였던 노력만큼은 해야 예의인 것 같아요.
'마음을 여는 글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혜민스님의 명언~내면의 자비빛을 일깨워 상대를 이해하려 노력한다면~ (0) | 2014.10.31 |
---|---|
혜민스님의 명언~그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(0) | 2014.10.30 |
혜민스님의 명언~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집착한다면.... (0) | 2014.10.30 |
혜민스님의 명언~상대방의 이야기를 끝까지 듣자 (0) | 2014.10.28 |
혜민스님의 명언~진심이 묻어나는 행동 (0) | 2014.10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