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모아주택과 모아타운, 이름은 비슷하지만 성격과 규모에서 차이가 있는 두 제도입니다 😊
서울시가 주도하고 있는 이 두 사업은 노후 저층 주거지 정비를 활성화하고, 주민 주도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이에요.
아래에서 각각을 정리해드릴게요! ⬇️
🏘 모아주택이란?
‘모아주택’은 노후한 단독·다가구 주택들이 밀집된 곳에서 소유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하나의 건물로 공동 개발하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이에요.
✅ 주요 특징
- 2~3필지 이상만 모이면 가능해요!
- 기존의 재개발처럼 큰 규모나 조합 설립 없이 진행 가능해요.
- 조합 대신 신탁사나 사업대행자(전문가)를 통해 빠르게 추진할 수 있어요.
- 시에서 설계·행정·비용 등을 전방위로 지원합니다.
🎯 대상 유형
- 단독·다가구 주택 밀집지역
- 기반시설(도로, 주차장 등)은 양호하지만 주택이 낡은 곳
- 다양한 모아주택 유형(가로주택형, 자율주택형 등)이 존재
🌇 모아타운이란?
‘모아타운’은 한 블록이나 동네 단위로 여러 모아주택을 묶어서 하나의 마을처럼 정비하는 서울시의 상위 개념입니다.
✅ 주요 특징
- 모아주택들을 집단으로 묶어 기반시설을 통합 정비해요.
- 공원, 주차장, 마을 도서관, 어린이집 등 공공시설까지 포함한 정비계획을 수립해요.
- 서울시가 지정한 관리계획에 따라 추진되어 체계적이에요.
- 지역주민과 자치구가 함께 만드는 주민 참여형 마을 개발이에요.
🏙 예시
- A동 블록에 5개의 모아주택이 있다면, 이 5개를 하나로 묶어 ‘A모아타운’으로 지정
- 이 구역 전체에 마을길, 커뮤니티 공간, 공용주차장 등도 함께 조성
💡 요약 비교
항목 | 모아주택 | 모아타운 |
규모 | 소규모(2~3필지 이상) | 중규모 이상(한 블록 단위) |
추진 주체 | 주민(개별 필지 소유자) | 자치구 + 주민(거버넌스) |
공공시설 | 해당 없음 또는 취소 | 공공시설 포함 (주차장, 공원 등) |
지원 범위 | 주택 건축 중심 | 지역 기반시설까지 통합 지원 |
적용 대상 | 저층 주택 필지 | 모아주택이 모인 구역(단지형) |
모아주택 모아타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서울시 모아주택 모아타운 홈페이지를 찾아 보시면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. 아래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 하세요.
반응형